본문 바로가기

이슈 앤 뉴스

통풍에 안좋은 음식 마른멸치 국물 육수~ 위기탈출 넘버원 위험한 밥상

반응형



1월 6일 방송되는 위기탈출 넘버원에서는 

멸치에 관한 위험한 밥상과 보일러 안전사용 설명서에 대해 방송됩니다. 



VCR1)

모녀 같은 고부 사이를 자랑하는 개그우먼 문영미씨와 아나운서 이지연씨!

영미씨는 키가 크지 않아 고민하는 손녀를 위해 몸에 좋은 멸치를 사왔는데요

 

영미씨 가족은 멸치로 국수와 볶음 등 많은 요리를 만들어 먹습니다.

그러던중 지연씨는 갑자기 극심한 고통에 주저앉고 마는데요

 


멸치를 섭취한 ‘이 방법‘ 때문에 지연씨는 다량으로 퓨린을 섭취해

통풍성 관절염에 걸리고 말았습니다.

 

그렇다면 퓨린을 가장 많이 섭취하게 되는 방법은 무엇일지?

넘버원을 통해 알아보시죠

 



통풍이란 말 그대로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모든 질병 중에 가장 아픈 병입니다. 

인체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요산이 발가락이나 복사뼈 등에서 결정체로 만들어져 통증을 유발하는 병으로 

다른 사람이 지나가면서 일으킨 바람에 의해서도 많이 아프고 온몸에서 열이 난다고 하여 ‘통풍’이라 불립니다. 




과거에는 왕이나 귀족같이 잘 먹고, 뚱뚱한 사람에게 잘 생긴다고 해서 왕의 병이라고도 불렸는데

요산이라는 물질이 우리 몸속에 과다하게 쌓이면서 생기게 됩니다. 
몸에 쌓인 요산이 피를 타고 돌아다니다가 쌓이면 백혈구가 세균으로 인식해서 공격하는데
염증반응이 일어나면서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 거죠. 
통풍은, 고통도 고통이지만 방치할 경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동맥경화 같은 성인병 위험이 높아지고 

중풍, 뇌졸중, 심장병 그리고 만성신부전증 같은 전신적인 질병이 동반돼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통풍의 가장 큰 원인이 바로 음식속에 들어 있는 퓨린이라는 물질 때문!!  

혈중 요산 농도를 높여 통풍의 발병 가능성을 높이는데, 실제로 요산 농도가 높을수록 통풍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지는데 고기 내장과 멸치, 조개, 마른오징어, 돼지고기 같은 육류, 고등어와 대구, 연어 그리고 콩나물에 퓨린이 많고, 

하지만 곡류와 달걀, 우유, 커피, 다시마에는 퓨린이 거의 없습니다. 



특히 맥주의 퓨린 함량이 굉장히 높고, 고기류에도 퓨린이 많이 들어 있는데 따라서 맥주나 치킨 같은 것들을 같이 먹게 되면 요산의 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고, 이 때문에 급성 통풍 발작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요산이 쌓이지 않도록 한꺼번에 많은 양의 퓨린을 먹지 않는 게 통풍을 예방하는 지름길이고




밑반찬으로 많이 먹는 멸치는 평소 먹는 것보다 그 양을 조금 줄이되 저퓨린 식품인 우유를 마셔주면, 칼슘 보충은 물론 요산 배출까지 도움을 준다네요. 


퓨린은 물에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을 이용한 조리법을 사용하면 퓨린의 섭취량을 많이 줄일 수 있고요. 특히 국물에 퓨린이 많이 용출돼서 나오기 때문에 국물 요리는 될 수 있으면 국물은 먹지 말고, 건더기 위주로 먹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하루 2리터 이상의 물을 꾸준히 마셔주면 몸속 요산 배출을 돕는다고 합니다. 




통풍 증상이 있는 환자들은 새우 머리, 육류의 내장 부위(심장, 간, 지라, 뇌, 혀)와 등푸른 생선류(정어리, 청어, 멸치, 고등어 등)를 먹을때  주의하세요~ 





VCR2)

울트라 슈퍼 짠돌이 왕소금 절약왕 개그맨 김현철씨!

한겨울임에도 불구하고 보일러 요금을 절약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하는데요

 



창문에는 에어캡을 수도관은 단열재를 붙이면서

아내의 구박에도 굴하지 않고 열심히 절약합니다. 

그러던 중 보일러실쪽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 보일러실의 문을 여는 순간

불길이 치솟으며 현철씨와 아내는 크게 화상을 입고 말았는데요

 



그렇다면 보일러에서 화재가 발생한 이유는 무엇일지?

넘버원을 통해 알아보시죠

보일러의 배기구로 폐가스가 빠져나가야 하는데 배기구나 배기관이 막혀 있을 경우 폭발할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겨울철 보일러를 틀었다가 이런 사고가 종종 일어 나기 때문에 

겨울철 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는 배관청소를 꼼꼼히 해주고, 

보일러실의 환기가 잘 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